(스크랩) 백두대간

[스크랩] 1대간1정간13정맥

트둥 너굴 2009. 10. 1. 15:20

 

 

 

 

○ 백두대간
백두산에서 비롯해 지리산에 이르는 이땅의 용마루 산줄기. 여기서 장백정간과 열세정맥의 서까래산줄기가 뻗어나가 삼천리강산을 이룬다. 넓은 의미로는 이들까지 포함한 개념을 백두대간으로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의 백두대간 영역은 마루금 위 산들의 발치까지다. 따라서 대간은 어느 정도의 폭 을 가진다. 대간을 종주하는 사람들은 마루금만 의미하기도 한다.

주요산은 백두산, 두류산,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이다. 북한은 아니지만 남한은 산다운 산을 망라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문지리적으로는 나라를 크게 동서로 나누는 의미가 있다. 총 길이는 1608킬로미터, 향로봉까지의 남한쪽이 도상거리로 671.5킬로미터고 향로봉부터의 북한쪽이 936.5킬로미터다. 높이는 100미터에서 2750미터까지, 남한만 치자면 1915미터까지다.

"산경표"라는 책에 근거한 이 백두대간시스템에는 그러나 몇 가지 풀어야할 문제가 있다. 첫째, 정간과 정맥의 위상 정립이다. 정간은 정맥과 차별화할 필요성이 없는데도 정맥의 상 위개념인 것처럼 되어있는 바 이를 동일위상으로 끌어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둘째는 열세정맥 중 둘, 한남금북과 금남호남의 겹치기정맥을 독립된 정맥으로 볼 것인가 중복부분으로 볼 것인가다.

이름은 없지만 같은 모양의, 대간과 해서 및 임진북예성남정맥 사이 부분, 대간에서 청남북정맥이 갈리는 부분까지를 어떻게 대접할까도 문제다. 실용성을 위해서는 단순화로 나아가 두 정맥이 병행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어떨까. 셋째, 잘못된 산줄기 방향을 바로잡는 것이다. 정맥이름의 태반이 강에서 유래한 점에서 보듯 정맥은 강을 에워싼 산줄기다. 그래서 거의 강 하구에서 끝맺고있는데 한북정맥과 금남 정맥은 이 원칙을 무시한다. 한북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오두산으로 가야할 것이 그 남쪽의 장명산으로 뻗었고 금남은 옥구로 향하지 않고 금강 중류의 부여 조룡대에서 마쳤다. 전통의 창조적 계승이 필요한 대목이다.

○ 장백정간
함경도 두류산(2309m)에서 두만강 하구의 서수라곶산으로 뻗은 산줄기. 만탑산 (2205m), 궤상봉(2333m), 관모봉(2541m), 백사봉(1139m), 송진산(1146m)이 여기 있다. 지금 은 관모봉으로만 알려져있는, 나라에서 두번째 가는 산 장백산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 남쪽 이 고향인 이의 회고록을 따르면 장백산은 백산이라 불렸다고 한다. 일대는 수치로 보아 알 수 있듯이 2000미터 이상의 산이 즐비해 왜정시대에는 "조선의 알프스"라는 칭호를 들었다. 서양 본뜨기에 목을 맨 일본인들의 짓일 따름이지만. 낙남정맥: 규장각도서 <여지편람>의 산경표에 낙남정간이라고 나와있는 것이다.

낙동강 남 쪽의 정맥이라는 뜻으로 지리산 영신봉(1652m)에서 시작하여 김해 분산에서 끝난다. 종점을 지금은 분성산이라고 한다. '강 둘러싸기 원칙'을 따른다면 동쪽의 신어산(630m), 그 낙맥인 백두산(353m)까지 가야할 것이다. 원칙에 충실하려면 낙동강 하구의 봉화산(278m)쪽이 맞지 않느냐고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 는데 이는 현대적 해석일 뿐이다.

낙동강하구둑이 쌓이기 전까지는 분성산과 신어산에 기대 있는 고을 김해 앞을 흐르는 서낙동강으로 바닷물이 들어왔다. 주요 산으로는 옥산(614m), 무량산(581m), 여항산(744m), 무학산(761m)이 있다. 이렇게 낮은 것들 뿐이지만 기후와 인간생활에는 큰 영향을 미쳐 남쪽과 북쪽을 해양문화권과 내륙문화권으로 나눈다.

○ 낙남정맥
북쪽으로 줄곧 낙동강을 받드는 낙남정맥은 남부해안지방의 분계선으로 생활문화와 식생, 특이한 기후구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산줄기이다.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남하하다 옥산(614m)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대곡산(543m), 여항산(744m), 무학산(763m), 구룡산(434m), 대암산(655m)을 거쳐 낙동강 하구를 지키는 분산(盆山)에서 끝난다.

○ 청북정맥
압록강 남쪽, 청천강 북쪽을 흐르는 정맥이다. 대간의 마대산(1745m)에서 시작하여 웅어수산(2017m)에서 청남정맥과 헤어지고 압록강 하구의 미곶산에서 끝난다. <산경표>는 낭림산(2184m)에서 비롯한다고 하는데 이는 마대산과 웅어수산 사이에 있다. 고려시대 천리장성이 쌓였던 산줄기로 대암산(1565m), 동림산(1165m), 단풍덕[산](1154m), 비래봉(1470m), 천마산(1169m), 은창산(931m), 법흥산(160m)이 주요 산이다. 단풍덕의 '덕'은 알타이어로 마운틴의 뜻이니 천산산맥의 최고봉 칸텡그리가 카자흐말로는 텡그리탁(Tengri Tag)이다 .

○ 청남정맥
청천강과 대동강을 가르는 정맥이다. 웅어수산까지는 청북정맥과 함께 가다 서남향하여 대동강 어귀 광량진에서 마감한다. 주요 산으로는 청북정맥과 공유하는 동백산(2096m), 낭림산, 웅어수산 외에 무동봉(1762m), 묘향산(1909m), 용문산(1180m), 오석산(565m)이 있다

○ 해서정맥
대동강과 임진·예성강 사이로 뻗은 정맥이다. 대간의 두류산에서 시작하여 장산곶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가사산(1361m), 동백년산(1246m), 고달산(866m), 대각산(1277m), 언진산(1120m), 멸악산(816m), 수양산, 불타산(608m)이다.

"산경표"는 고달산 아래 개연산까지가 백두대간이고 거기서 해서정맥과 임진북예성남정맥 이 갈려나간다고 하는데 개연산은 오늘날 지도에는 이름이 없고 대신 화개산(1041m)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있다. 이 정맥은 중부지방과 북부지방을 가르는 선이다. 그래서 식생과 농사가 이 선을 경계로 하는 것이 많다 .

○ 임진북예성남정맥
임진강과 예성강 사이로 뻗은 정맥이다. 두류산에서 화개산까지는 해서정맥과 같이 가다 남으로 흘러 진봉산에서 끝난다. 화개산 아래의 주요 산은 입암산(1107m), 명지덕[산](911m), 율목산(691m), 고주애산(754m), 수룡산(717m), 천마산(762m)이다. 한북정맥: 대간의 백봉에서 시작해 오두산(119m)에서 끝나는 산줄기다.

주요 산은 백암산 (1110m), 적근산(1073m), 대성산(1175m), 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죽엽산(610m), 불곡산(470m)이다. <산경표>는 불곡산 이후 도봉(717m), 삼각산(836m), 노고산(496m) 지나 현달산, 고봉산 (208.8m), 그리고 지금 심학산으로 불리는 장명산에서 끝나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왕도 의 진산 삼각산을 넣기 위한 왜곡으로 보인다. 진실은 불곡산 아래 호명산(423m)에서 남쪽 의 도봉으로 향하지 않고 서쪽의 계명산(622m), 혜음령, 명봉산(248m), 월롱산(229m), 기간 봉(246m), 그리고 오두산 통일전망대다 .

○ 한북정맥
북쪽으로 임진강 남쪽으로 한강의 분수령이 된다. 백봉에서 시작한 한북정맥은 백암산(1,110m), 법수령을 지나 휴전선 가까운 오성산(1,062m), 철책 넘어 대성산으로 이어진다. 포천 백운산(904m) 운악산(936m), 서울 도봉·북한산(837m), 고봉산(208m)을 지나 임진강과 한강의 합류 지점인 교하의 장명산(102m)에서 끝난다.

○ 낙동정맥
낙동강 동쪽 울타리를 이루는 산줄기다. 대간의 매봉[산]에서 시작하여 몰운대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통고산(1067m), 백암산(1004m), 주왕산(721m), 단석산(829m), 가지산(1240m), 취서산(1092m), 금정산(802m)이다. 경상도가 동쪽과 남쪽이 바다와 닿아있으면서도 내륙문화권으로 된 것은 이것과 낙남정맥 때문이다. 경상도의 음식이 별로인 것 역시 이런 이유에서로, 해물이 들어오지 않는 위에 퇴적암인 경상계 지형이 물맛이 없어서다 .

○ 한남금북정맥
한강과 금강을 나누는 분수령이다. 속리산 천황봉(1,508m)에서 시작하여 말티고개, 선도산(547m), 상당산성, 좌구산(657m), 보현산(481m)을 지나 칠현산(516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과 갈라지면서 한남금북정맥은 끝이 난다.

○ 한남정맥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분계한다. 한남금북정맥의 칠현산 북쪽 2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칠장산(492m)에서 시작된다. 백운산, 보개산, 수원 광교산(582m), 안양 수리산(395m)을 넘으며 김포평야의 낮은 등성이와 들판을 누비다 계양산(395m), 가현산(215m) 지나 강화도 앞 문수산성에서 끝맺는다.

○ 금북정맥
금강의 북쪽 울타리이다. 한남정맥과 헤어진후 칠현산(516m), 안성 서운산, 천안 흑성산(519m), 아산 광덕산(699m), 청양 일월산(560m), 예산 수덕산(495m)을 지난다. 산줄기는 예산 가야산(678m)에서 멈칫거리다 성왕산(252m), 백화산(284m)를 거쳐 태안반도로 들어 반도의 끝 안흥진에서 끝을 맺는다

○ 금남호남정맥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의 겹침부분이다. 대간의 영취산에서 시작하여 입봉(637m) 2킬로미터 남쪽 모래재 부근까진데 <산경표>에서는 이 종점을 주줄산, 지금은 운장산(1126m)이라 하나 이제 탈피해야할 지리개념이다. 『산경표를 위하여』 저자 조석필씨는 부귀산 자락으로 보자고 한다 .

○ 금남정맥
금강의 남쪽 울타리를 이루는 산줄기다. 금남호남정맥 부분을 벗어나면 북쪽으로 머리를 튼다. 이후 운장산을 지나 왕사봉(718m)으로 향한다. <산경표>는 다음 이어짐이 대둔산(878m), 계룡산(845m), 조룡대라고 하는데 이는 조선 말 기에 유행한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아 '차기 수도'의 진산 계룡산을 넣기 위한 곡학아세로 보 인다. 진짜는 왕사봉에서 칠백이고지, 천호산(500m), 미륵산(430m), 함라산(241m) 하여 옥구 로 빠지는 줄기다 .

○ 호남정맥
섬진강을 싸고도는 산줄기다. 모래재까지는 금남정맥과 함께 가다 남으로 향해 사자산(666m)에서 동북향, 광양 백운산(1218m)에서 끝난다. 주요 산은 내장산(763m), 금성산성(573m), 무등산(1187m), 천은산(602m), 화악산(614m), 조계산(884m)이다. 이 정맥의 남북주향은 조선시대 전라좌도와 우도의 경계고 동북주향은 해양문화권과 내륙문 화권을 가른다. 정맥 안의 큰 저수지 주암호로 하여 인구가 많은 바깥지역이 물 귀한 줄 모르고 산다.
 


출처 : 메주
글쓴이 : meaju 원글보기
메모 :